취업우수사례_2015학번 임두환(삼성전자)
1. 취업 당시 스펙
- 2019년 2월 학사 졸업
- 2019년 3월 ~ 2021년 6월 군 생활(육군 중위, 정보통신 병과)
- 2021년 8월 ~ 2021년 9월 포스코A&C건축CM사업실 채용형 인턴(포스코계열사 감리 및 건축 회사)
- 2021년 10월 ~ 2022년 2월 포스코A&C정규직 취업(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감리 업무)
- 2022년 2월 ~ 현재 삼성전자DS부문 대졸급 정규직 사원 취업 및 재직 중
- 자격증: 전기기사(18년 취득), 전기공사기사(19년 취득), 소방설비기사 전기분야(19년 취득), 정보처리기사(20년 취득),
한국사자격증2급(20년 취득), KBS한국어 자격증3+급(20년 취득), 토익스피킹Level6(21년 취득)
2. 현재 직무 : 삼성전자DS부문 글로벌제조&인프라총괄 전기기술팀 평택전기그룹FAB보전파트
제가 담당하는 업무는 사내 전력 수전부터 배전까지 계통을 전반적으로 관리하는
전기 인프라 엔지니어로써, 반도체를 만드는 공장인FAB내부에서 분전반부터 설비까지 전력 공급을 하는 것입니다.
현재 업무 분야는 전기 작업 엔지니어 실무자의 느낌보단 엔지니어들을 관리하는 관리직에 가깝습니다.
사내 전기그룹이 하는 업무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FAB건설시 초기에 전력설비를 관리하거나, 24시간 전력 운영을 모니터링 하고 수전을 관리하는 업무나(345kV, 154kV, HVDC등),
FAB이나 사무동에서 부하 관리 및 배전 업무 등 DS부문의 전기기술팀 임직원만 1,000명 가까이 되고 주기적으로 업무를 순환하고 있습니다.
3. 취업준비 노하우
저는 대학생활부터 취업공고를 많이 찾아봤습니다.
원래는 공기업을 목표로 공부했었기 때문에 자격증 점수 등 정량적인 지표가 많아서 공부 목표를 세우기 쉬웠습니다.
취업하고 싶은 세부 직종, 회사가 있다면 미리 취업 조건, 필요 스펙, 후기들을 많이 찾아보고 거기에 맞춰서 공부하세요.
졸업이 가까워지고 취업 시즌에 닥쳐서 찾아보고 준비하면 뒤쳐집니다.
학점관리, 기사자격증은 필수입니다. 입사 동기들 중에 기사가 없는 사람은 있어도 학점이 낮은 사람은 아무도 못 봤습니다.
그리고 조금 모자란 학점과 학벌은 기사자격증으로 충분히 커버 가능합니다.
일반 학점보다 전공 학점이 더 중요하긴 하지만, 그렇다고 일반 학점을 버려도 되는건 아닙니다.
1학년 땐 놀아도 된다는 말을 믿지 마세요.
영어 공부는 스피킹으로 준비하는 게 도움 됩니다.
토익시험은 시험 직전에 바짝 공부해서 점수를 올리는 시험이라 들었고, 믿었습니다.
그리고 제 점수는 대기업은 커녕 공기업도 서류 탈락하는 점수를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그러다 발견한 게 토익 스피킹이고, 저같은 사람이 짧게 공부해도 금방Level 6는 나오더군요.
대표적인 공기업 기준 토익점수가 773점 정도 됩니다.
제가 순순히 토익 공부를 했다면 얻기 어려웠을 점수입니다.
물론 근본적인 영어 공부가 지속적으로 필요하지만, 정말 급하고 절박하다면 스피킹 시험을 준비하세요.
4. 후배들에게 전하고 싶은 말
1, 2학년 중 아직 군입대를 하지 않은 후배들은 ROTC를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어차피 군대 가야하는 거 장교생활 하면서 사회 생활 경험도 해보고, 돈도 꽤 받고, 관리자 경험도 해보고 여러모로 좋습니다.
졸업하고 군대에 있는 동안 자격증 취득도 가능해서 시간적으로 정말정말 좋습니다.
취업할 때 ROTC출신 전형은 판매직 등 매우 소수지만, 규모가 있는 회사들은 서류전형이나 면접에서 좋게 봅니다.
면접자 중에 없더라도 이미 회사 곳곳에 들어와 있는 수 많은 ROTC선배들이 쌓아온 긍정적 이미지가 커서 본인에게도 혜택이 돌아옵니다.
그리고 호서대ROTC는 전국 타 대학ROTC와 비교했을때 나름 학교의 지원이 꽤 좋은 편에 속합니다.
친한 병과 동기들 전부 좋은곳에 취업 빨리 잘 했습니다.
저와 같은 삼성전자 다니는 동기도 있고, 유명 게임회사, 방산회사, 군무원 등 엄청 많습니다.
남성이든 여성이든 진지하게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경력 스토리 라인을 잘 생각해야 합니다.
저는 “1. 대학졸업(학점 및 자격증 구비) - 2. 군 장교생활(발전기 업무 병행) - 3. POSCO A&C(삼성전자 감리) - 4. 삼성전자” 순서로 진행했습니다.
첫 번째 회사에 들어갈 때 제가 강조한 건 군생활 경험이었습니다.
사무업무도 많이 해봤고 발전기 관리 실무 경험이 있어서 단순한 대졸과 다르다고요.
그리고 삼성전자에 입사할때 강조했던 건 첫 번째 회사 경험이었습니다.
이미 다른 대기업에서 검증 받았고, 당시 감리업무를 해봐서 잘 안다고요.
일단 어디라도 한 군데 합격하고 경력이 생기면 이직은 처음 취업하는 것보다 훨씬 쉽습니다.
첫 단추를 잘 꿰는 게 중요하고, 거기서 점점 올라갈 수 있다는 걸 꼭 명심해야 합니다.
제가 처음부터 지금 회사를 목표로 했다면 아마 들어오기 어려웠을 겁니다.
다 앞에 있던 경력들이 연결돼서 지금 회사에 취업할 수 있었던 거죠!!